와이프가 임신을 하고
그 사실을 알리는 일련의 행위를 임밍아웃이라고 하죠.
임밍아웃을 당한 뒤 남편들이 해야할 일들이 있는데
오늘은 그것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정말 전혀 모르고 있다가 임밍아웃을 당했는데
그 상황에 대해서 조금 혼이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서 첫번째!!
임신을 알게 된 후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감동받기입니다.
저는 조금 많이 T인 사람인지라 임밍아웃 당시
바로 언제 임신이 됐냐는 사실만 물어봤다가
나중에 오빠는 왜 감동을 받지 않아!?!?!?라면서 혼이 났던 기억이 있는데
부디 이 글을 보신 남편 분들은 많은 감동을 받으시고 훈훈하게 마무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두번째 마음 가짐의 준비!!
사실 임신 사실을 알게 된 이후에도 9개월 가량의 시간이 남았지만
아이가 없을때와는 상황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에
그에 따른 마음 가짐의 준비가 많이 필요한 것 같아요.
일단 아내의 건강을 잘 챙겨야 하고
또한 감정적인 변화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처신을 잘 해야 합니다.
임신을 하면 감정 기복이 심하고 피로할 수 있고
입덧이 심한 산모는 그것이 몇배나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옆에서 케어를 잘 해주셔야 해요.
실제로 제 와이프는 출산 전날까지 입덧을 했는데
최악의 상황을 생각하고 대비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세번째 산부인과 및 조리원 준비
출산까지 앞으로 꾸준히 이용해야 하는 산부인과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임신 때는 평택에서 산부인과를 다녔고
출산은 서울에서 진행했기 때문에 두 곳의 산부인과를 모두 알아봤고
서울에서는 강동 고은빛여성병원을 이용했습니다.
고은빛여성병원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에 자세히 해보겠지만
산부인과를 빨리 정하면 그만큼 준비가 빨라집니다.
출산 이후에는 바로 이용해야하는 조리원을 준비해야 하는데
조리원에 대한 이야기도 따로 하겠지만
병원과 가깝고, 병원과 연계되어 있는 곳부터 투어를 돌아보시면 좋습니다.

네번째 경제적인 준비 돈돈돈!!!!
임신 사실을 아게 된 이후 바로 체감을 하기는 어렵지만
출산 이후부터는 돈이 정말 엄청 매우 많이 들기 때문에
그에 따른 준비가 필요합니다.
조리원마다 다르겠지만 최소 5~6백 정도는 생각해야 하고
병원비도 자연분만, 수술에 따라 다르겠지마나 최소 1백 이상
집에 가면 도우미 1백 만원 등등등
다 적을 수 없을만큼 많이 돈이 들기 때문에 꼭 준비하셔야 해요.
다섯번째 정부지원금 및 휴직, 휴가 알아보기!!!!
출산 후 정부지원금에 대해 꼭 알아보셔야 합니다.
정부지원금 종류와 신청은 따로 포스팅을 하겠지만
은근히 복잡하고 오래 걸리는 것들이 많아서 미리 정리를 해두시는게 좋아요.
그리고 육아휴직이나 출산휴가에 대해서도 알아보시고
필요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주셔야 합니다.

여섯번째 육아 용품 준비하기!!
저는 아주 늦게 육아용품을 준비해서 부랴부랴 서둘렸던 기억이 있는데
최대한 빠르게 육아에 필요한 물품들을 준비해 두시면 좋습니다.
가장 먼저 해야할일은 주변에서 나눔해 주는 용품들을 정리하셔야해요.
그래야 없는 물품들을 빠르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나눔을 받을 제품들을 빨리 받아서 정리하고
쓸수 있는 것, 쓸 수 없는 것들을 정리하고
필요한 제품을 구입해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진짜 필요할 때 빨리 알아보고
많이 알아보고 중복투자 없이 육아용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일곱번째 이름 정하기!!
이름을 정하는 방법은 아주 다양한데
엄마 아빠가 혹은 가족이 이름을 정해주는 경우에는
미리 많은 회의를 통해 정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출산이 가까워지고 혹은 출산 이후 이름을 정하기에는
신고하고 신청해야 하는 것들이 많기 때문에
최대한 이름은 미리 정해놓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요.
저처럼 작명소에서 이름을 받으시는 분들도 많으실텐데
작명소를 미리 정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출산 후 작명소에 의뢰했고
무려 2주가 지난 이후 이름을 받을 수 있었어요.

대충 생각나는 것들은 모두 적은 것 같은데
이외에도 남편들이 준비해야 할 것들이 진짜 많아요.
임신 후 워낙 신체적으로나 심리적으로나 힘들기 때문에
무조건 많이 도와주고 서포트를 해주셔야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출산 후 남편이 해야할 일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생신고 준비물 기간 및 방법 그리고 출산서비스 통합처리 (1) | 2025.03.03 |
---|
댓글